저는 2010년 2월 25일부터 2012년 2월 24일까지 2년동안 몽골에서
코이카 일반 봉사단원으로 있다가 온 사람입니다.

이번 스리랑카에서 낙뢰로 코이카 단원이 사망한 사건이 발생하면서,
갑자기 코이카가 검색어 상위에 랭크되면서,
코이카에 대해서 잘못 알려지고 있는 부분이 있어서 바로 잡습니다.


(1) 코이카라는 단체가 있네? 뭐하는데래?
"코리아"의 이름을 달고 해외원조사업을 주관하는 단체입니다.
코이카 해외봉사단원들을 파견하는 사업에 드는 비용은
코이카에서 사용하는 해외원조사업 예산의 작은 일부분일뿐입니다.

※ KOICA  홈페이지 : http://www.koica.go.kr/


(2) 기독교 단체인줄 알았는데 아닌가보네?
코이카는 국내의 기업이든 종교단체든 어느 사설단체와는 완전히 무관한

대한민국 외교통상부의 산하단체로 "해외원조사업"을 통해 국가위상을 높이기 위한 정부기관입니다.
그래서, 코이카 단원들은 국내의 수많은 해외봉사단체들과는 달리
해외파견시 "관용여권"을 발급받아서 파견받습니다.


(3) 군대 대신에 봉사하러 2년간 다녀올 수도 있네?
코이카 단원의 종류에는
일반 봉사단원, 시니어 봉사단원, 국제협력의사, 국제협력요원이 있습니다.
국제협력의사와 국제협력요원은 군복무 대신 대체 근무를 하는 사람들입니다.
일반 봉사단원과 시니어 봉사단원은 군복무와 무관하게
자신이 가진 재능을 나누겠다는 꿈과 희망으로 활동하고자 지원하신 분들입니다.
국제협력요원들은
국내에서 4주간 기초군사훈련을 받고,
국내교육 1개월, 파견국에서 현지 적응훈련 2개월과 활동 24개월,
그리고 국내귀국후 다시 1개월(정확하지 않음)쯤 공익요원 근무를 하고 소집해제됩니다.
군복무 기간이 약 29개월정도 되네요.

군복무 기간이 국내에서의 현역병보다 긴 대신에

해외에서의 2년간의 생활 경험과 나눔과 봉사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때문에

국제협력요원으로 지원해서 합격까지의 경쟁률은 높은편이라고 합니다.



(4) 월 80~100만원쯤 현지 생활비를 주네?
국가마다 다르지만, 현지 생활비 50만원 내외,
국가별 또 파견 도시별로 다르지만, 주거비 별도 실비,
활동종료후 귀국시에 월 50만원(2011년 12월까지는 월 40만원)씩 적립해서 귀국시 일시금 지급받습니다.
2년 현지 파견 활동후에 귀국하면
귀국정착금으로 1,200만원 정도의 돈을 귀국정착금으로 받습니다.

국제협력요원에게는 이 귀국정착금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Posted by 우라질레이터

urajilation@gmail.com
우라질레이터

달력

태그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