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기의 표기형을 한글 맞춤법 총칙 1장 1항으로 설명하시오.
[보기] ‘볶고/볶으면/떡볶이’
‘웃고/웃음/우습다’
‘덥고/더우면’
(1) 볶고/볶으면/떡볶이
모두 “볶다”의 표준어에서 파생된 단어이며, “볶고”는 “볶다”의 어간 “볶”과 어미 “-고”가 붙었으며, [보꼬]로 발음하고, “볶으면”은 어간 “볶”과 어미 “-으면”가 붙었으며 [보끄면]으로 발음하며, “떡볶이”는 명사 “떡”과 동사 “볶다”의 어간 “볶”과 행동이 아닌 음식이나 물건을 뜻하는 접미사 ”-이”가 붙은 단어로 [떡뽀끼]로 발음한다 |
(2) 웃고/웃음/우습다
“웃고”와 “웃음”은 “웃다”의 표준어에서 파생된 단어로 “웃고”는 “웃다”의 어간 “웃”과 어미 “-고”가 붙었으며, [욷꼬]로 발음하고, “웃음”은 “웃”과 동사의 명사형을 만드는 “-음”이 연결되었으며, [우슴]으로 발음하고, “우습다”는 그 단어 자체가 표준어이고 [우습따]로 발음한다. |
(3) 덥고/더우면
“덥고”와 “더우면”은 모두 “덥다”의 표준어에서 파생된 단어인데, “덥고”는 “덥다”의 어간 “덥”과 어미 “-고”가 붙었으며, [덥꼬]로 발음하고, “더우면”은 “덥다“의 ㅂ불규칙 용언으로 어간 “덥”의 “ㅂ”이 어미 “-으면”이 연결되면서 “ㅜ”으로 변형된 형태이며, [더우면]으로 발음한다 |
2. 보기의 표기형을 이용하여 사이시옷 표기 기준에 관해 설명하시오.
[보기] ‘윗방/위층/위쪽’
‘셋방/월세방/전세방/전셋집’
‘햇살, 해님’
‘최댓값/최대치’
(1) 윗방/위층/위쪽
“위”는 우리 고유어이고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이고, “방”의 첫소리 “ㅂ”은 된소리로 나는 경우이므로 사이시옷을 사용하지만, 표준어규정 제12항 다만1의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서는 “위-“로 한다의 규정에 따라 “쪽”의 “ㅉ”의 된소리이고 “층”의 “ㅊ”이 거센소리이르로 “위쪽”, “위층”으로 표기한다. |
(2) 셋방/월세방/전세방/전셋집
사이시옷은 고유어가 포함되어 있는 단어에 앞말에 “ㅅ”을 추가하여 적지만, 두 음절로 된 6개의 한자어는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을 적는다. 그 예외적 단어에 “셋방(貰房)”이 포함되어 있다. 월셋방 (月貰房)과 전세방(傳貰房)은 월세+방, 전세+방의 한자어로만 구성된 단어이므로 사이시옷을 포함되지 않는다. 하지만, “전셋집”은 한자어 “전세(傳貰)”와 “집”이라는 우리 고유어가 연결된 합성어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단어로 사이시옷이 포함한다. |
(3) 햇살, 해님
“햇살”은 고유 우리말 단어인 “해”와 “살”이 연결되어 만들어지 합성명사이므로 “햇살”로 표기한다. 하지만, “해님”의 발음을 [핸님]으로 하게 되면 “ㄴ”앞에서 “ㄴ”소리가 덧나기 때문에 사이시옷의 실현 조건(2나)에 따라 사이시옷이 들어가야 할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해님”는 명사와 명사가 결합해서 만들어진 합성명사가 아니다. “해님”의 “해”는 명사이지만 “-님”은 명사가 아니고 접미사이기 때문에 “해님”은 합성명사가 되지 못하고 “해님”이 되어야 야 한다. |
(4) 최댓값/최대치
“최대”는 한자어 명사이고 “값”은 고유 우리어인데, “최댓값”의 뒷말의 첫소리가 “ㄱ, ㄷ, ㅂ, ㅅ, ㅈ”이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즉 [최댇깝]으로 발음되어 최대 + 사이시옷 + 값으로 표기한다. 하지만, 최대치는 “최대” + “치” 모두 한자어로 사이시옷을 포함하여 표기하지 않는다. |
3. 보기의 표기형을 이용하여 띄어쓰기 기준에 관해 설명하시오.
[보기] ‘우리나라/우리 집’
‘있는 대로, 나는 나대로’
‘부모와 자식 간/부자간/이틀간’
(1) 우리나라/우리 집
단어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다는 것은, 특히 단어와 구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다는 문제와 관련성이 깊은데, “우리”+”나라/동네/학교/가족”의 구성의 경우에는 “우리나라”만 붙여 쓰고, 우리 동네, 우리 학교, 우리 가족은 모두 띄어쓰기를 한다. “우리나라”처럼 “우리말”과 “우리글”도 하나의 단어로 간주하여 붙여 쓴다. |
(2) 있는 대로, 나는 나대로
“대로”는 의존 명사로 쓰이는 경우와 조사로 쓰이는 경우에 따라서 띄어쓰기가 달라지는데, “있는 대로”에서는 앞에 “있는”이라는 관형어가 존재하여야만 하며 이때는 띄어쓰기를 하여 “있는 대로”라고 쓴다. 반면, “나는 나대로”에서 “대로”는 조사로 사용된 것으로 “대로”앞에는 관형어가 아닌 명사가 존재하고 명사를 보조하는 역할이며 앞말인 “나”와 붙여쓰기가 원칙이어서 “나대로”라고 쓴다. |
(3) 부모와 자식 간/부자간/이틀간
“간(間)”은 의존명사로 쓰이기도 하고 접미사로 쓰이기도 한다. 의존 명사로 쓰일 때에는 “한 대상에서 다른 대상까지의 사이” 또는 “관계”의 뜻을 가지고, 접미사로 쓰일 때에는 기간을 나타내는 일부의 명사 뒤에 붙어 “동안”의 뜻을 가진다. “부모와 자식 간”에서 “간은 “사이” 또는 “관계”를 나타내는 의존명사로 쓰였기 때문에 앞말과 띄어 쓴다. 이에 반해 “이틀간”은 “동안”의 뜻을 가진 접미사이므로 앞말에 붙여쓴다. 하지만, “부자간”은 부녀간, 모자간, 모녀간, 부부간, 형제간, 자매간, 친지간과 같이 명사와 의존명사 “간”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로 하나의 단어이기 때문에 앞말에 붙여쓴다. |